22년도 상반기에 주목받고 있고 앞으로 주목받을 2023년 청년지원금 종류 중 청년지원사업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축 위주의 청년 지원금 사업을 알려드리며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은 아래글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목차*
0. 정부가 발표한 예산안
1. 청년도약계좌
2. 청년 소득공제 장기펀드
3. 청년 내일 저축계좌
4. 청년희망적금
5. 희망 두배 통장
6.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0. 정부가 발표한 예산안
2023년 청년지원금 종류를 얘기하기전에 말을 정리하면 과 청년 자산형성을 위해 군 관련 예산 개선과 청년 저축 관련 예산을 늘린 것으로 예상합니다. 무엇보다 기존에 지원이 없던 청년 주택에서 지원을 늘린 것이 가장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23년 청년 지원금 발표한 예산안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3년 청년지원금 예산 인상 변화
- 군장병 인건비, 급식비 3.57조 원 → 4.25조 원
- 장병 내일 준비 적금 0.25조 원 → 0.76조 원
- 청년 내일 저축계좌 289억 원 → 0.16조 원
- 청년 주택 0원 → 1.07조 원
-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0.54조 원 → 0.92조 원
23년 가장 눈에 띌 것으로 보이는 건 군 장병 복지입니다. 경제적 자립과 취업 지원을 위해 군장병 월급을 인상하고 장병 내일 준비 적금 지원 비율이 상향됐습니다. 23년 계급별 병사 월급은 대략 20% 인상되었으며 장병 내일 준비 적금은 기존 지원금에서 16만 원 증가했습니다.
장병 내일 준비 적금은 잔여 복무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장병이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며 22년 대비 기존 정부 지원금이 250만 원에서 540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군 복무 기간 동안 매월 최대 40만 원씩 저축하면 전역 시 최대 1,290만 원의 목돈 마련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앞으로의 청년지원을 위한 지원금 종류들을 말씀드리기 전에 이미 신청기간이 끝난 것도 포함합니다. 하지만 다양한만큼 앞으로 정부가 청년에게 지원할 것을 늘리고 23년에 다시 재등장할 수 있기에 이런 게 있었구나 하고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
1. 청년 도약 계좌
청년 도약 계좌란 23년에 출시하는 제도이며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위해 본인의 기여와 정부가 매칭 하는 방식입니다. 만 19세~34세 이하의 청년이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입금하면 정부가 소득에 따라 최대 40 만원까지 지원하여 10년간 적금을 하는 상품입니다. 가입하기 위해서는 사업소득이나 근로소득 같은 소득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만기를 5년으로 가정할 때 최대 5천만 원의 목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중앙정부 및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사업 가운데 유사한 혜택을 받고 있거나 과거에 혜택을 받은 적 있는 경우 중복 지원을 금지한다고 합니다.
자세한 청년도약계좌 정리내용이 궁금하면 클릭
2. 청년 소득공제 장기펀드
만 19세~ 34세 이하의 청년이 신청 가능한 사업이며 위와 마찬가지로 소득 또한 조건이 있습니다. 연소득은 5000만 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금액은 3800만 원 이하여야 하며 지급요건은 납입을 필수로 최소 3년간 유지해야 합니다. 지원 혜택은 3~5년간 연 최대 600만 원 납입하시면 40%의 소득공제가 가능하며 만기수령 시 3년간 최대 118.8만 원 절세 및 펀드 수익률 별도입니다.
연간 600만 원으로 정해져 있지만 월간 납입금액은 정해져 있지 않아 월별로 저축이 가능합니다. 최소 3년은 채워야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20년도 근로하는 청년 기준 연소득 5000만 원은 76%가 해당된다고 합니다. 이 말은 세명중 두 명은 혜택 받을 수 있는 사업입니다.
3. 청년 내일 저축계좌
내일 저축계좌는 주거 및 교육급여 가구 혹은 차상위계층 청년을 위한 지원사업입니다. 만 19세~34세 이하의 청년이 신청하실 수 있으며 소득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이며 연소득 600 이상 ~2400만 원 이하 일시에 신청이 가능합니다. 지급요건은 3년간 근로활동을 지속하며 교육을 이수하셔야 합니다.
월 10만 원씩 저축 시 1~3배까지 정부가 추가 지원하는 지원 혜택이 있으며 3년 만기 시 360만 원 + 지원금 + 이자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23년에는 작년에 비해 6.7만 명 추가 모집된 17.1만 명을 모집한다고 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이거나 차상위계층 일시 소득기준을 따로 적용하지 않으며 360만 원의 납입금과 1080만 원의 지원금, 이자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기준표 (22년도 기준)
구분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7인가구 |
금액(원/월) | 1,944,812 | 3,260,085 | 4,194,701 | 5,121,080 | 6,024,515 | 6,907,004 | 7,780,592 |
4. 청년희망적금
마찬가지로 만 19세~ 34세 이하의 청년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연소득은 3600만 원 이하며 종합소득금액은 2400만 원 이하여야 하며 2년간 월 최대 50만 원 납입이 가능합니다.
2년 만기 시 장려금 36만 원과 기본이자 5%와 우대금리의 혜택이 있기에 최대 10%까지 금리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월 50만 원씩 2년 동안 납입시 납입액 1,200만 원과 은행이자 62.5만 원 그리고 저축장려금 36만 원을 받아 10%의 금리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이자소득세가 비과세 처리되어 0원입니다.
아쉽게도 청년희망적금은 연 10% 이자와 비과세 혜택이 좋아 신청기간 이후 더 이상 신청하실 수가 없게 됐습니다. 금융당국은 재출시 가능성은 열었지만, 재출시할 때 이자 소득 비과세 혜택을 할지 말지 고민하고 있으며 그것을 대신할 대안이 청년 도약 계좌입니다.
5. 희망 두배 통장
희망 두배 통장은 서울시에 한하는 청년 통장입니다. 나이 기준은 만 18세~34세 이하의 청년들이 신청할 수 있는 사업입니다. 납입 금액은 월 10만 원 또는 15만 원씩만 저축이 가능하며 지원혜택은 서울시에서 1:1비율로 지원합니다. 10만원 저축시 10만원씩 지원을 합니다.
예를 들어 15만원씩 3년을 저축하시면 납입금 540만 원과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540만원과 이자금액을 수령하여 총 1,080만 원과 이자금액 수령이 가능합니다.
소득조건은 본인 기준 월 소득 255만 원 이하, 부양의무자 (부모, 배우자) 기준: 연 1억 원 이하 , 재산 9억 원 미만 이여하며 접수기간은 6월 2일 ~ 6월 24일까지이며 접수방법은 주소지 기준 동 주민센터 방문 접수합니다.
6.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 궁금하시면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오늘의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술포진 빨리 낫는법 및 원인과 예방법 (0) | 2022.12.19 |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0) | 2022.12.13 |
SRT 예매방법 및 할인예매하는 방법 (0) | 2022.12.05 |
애드센스무효클릭신고방법 (0) | 2022.12.02 |
치아보험 필요한가? 치아보험 총정리 (0) | 2022.12.01 |
댓글